실시간

금융당국, NH투자증권 압색…"11개 종목 '미공개 정보이용' 혐의"

■합동대응단 2호 사건
공개매수 정보 취득해 부당이용
IB고위임원 등 20억 원 이득 혐의
대응단 "무관용 엄중 조치 예정"

  • 윤지영 기자
  • 2025-10-28 10:27:26
  • 프린트하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금융당국이 NH투자증권의 투자은행(IB) 담당 고위 임원이 상장사 공개매수 11개 종목의 미공개 정보를 이용했다고 보고 압수수색에 나섰다.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28일 NH투자증권 고위 임원 등이 연루된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NH투자증권 해당 임원 집무실과 공개매수 관련 부서 등에 대해 고강도 압수수색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위는 올 7월 이번 사건과 별개로 NH투자증권의 공개매수 담당 실무 직원의 또다른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었다.

합동대응단은 최근 몇년간 공개매수 공표 이전부터 주가가 급등하고 거래량이 폭증하는 등 공개매수 전후 미공개정보 이용 정황을 다수 포착했다. 금감원은 조사 과정에서 공개매수 주관사 고위 임원의 연루 정황을 포착하고 금융위의 강제조사를 통한 증거물 확보 필요성 등을 감안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합동대응단에 따르면 NH투자증권 임원 A씨는 최근 2년여간 NH투자증권이 공개매수를 주관했던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관련 중요정보를 직장동료와 지인 등에게 반복적으로 전달했다. 관련 정보를 전달받은 이들은 공개매수 사실이 시장에 공표되기 전 해당 주식을 매수하고 공표 후 주가가 상승하면 전량 매도하는 방식으로 20억 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매매분석·자금추적 내용에 따르면 공개매수 발표 전후 증권사 임원 측과 정보이용자들 간 주식매매 관련 자금으로 보이는 거액의 금전거래가 빈번하게 발견됐으며 이들 간 부당이득을 공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도 포착됐다. 정보를 전달받아 주식을 매매한 혐의자들은 친인척 등 명의의 차명 증권계좌를 다수 사용했으며 사용한 차명 계좌도 수시로 바꿔가며 매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당국은 무관용 엄중 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NH투자증권은 공개매수 업무를 총괄하는 주관 증권사로서 독보적 지위를 갖는다는 점에서 사안을 엄중하게 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깔려있다. NH투자증권 은 최근 2년 간(2023~2025년) 총 28건의 공개매수 업무를 주관해 전체 건수(55)의 절반에 육박하는 실적을 냈다. 합동대응단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해당 증권사가 내부통제 체계를 스스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공개매수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불공정거래 건수가 증가한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4년 불공정거래 통보 자료’에 따르면감독당국에 통보된 불공정거래 혐의 유형 중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유형은 12건으로, 당해 전체 공개매수 건수(26건)의 절반 수준에 달한다.

합동대응단 관계자는 “금융회사 및 상장기업 임직원 등 정보의 우위를 지닌 내부자가 자본시장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를 철저히 적발해 엄중한 형사처벌과 행정제재로 이어지도록 조치할 것”이라며 “업무 특성상 미공개정보이용 소지가 높으나 시장감시의 사각지대에 있는 금융회사 및 사무대행사 관계자 등에 대해 점검·조사를 확대해 위법행위 적발시 무관용 엄중 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