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무디스, 한국투자증권 신용등급 Baa3로 강등…전망은 ‘안정적’으로 상향

위험선호 24.5%로 업계 평균 웃돌아
단기자금-장기투자 ‘만기 불일치’ 경고

  • 변수연 기자
  • 2025-09-24 17:54:06
  • 프린트하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한국투자증권 사옥 전경. 한국투자증


세계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한국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낮췄다. ‘고위험·고수익’ 전략에 따른 재무 건전성 우려가 반영됐다.

무디스는 24일 한투증권의 장기 외화 표시 기업 신용등급과 선순위 무담보 채권 등급을 기존 ‘Baa2’에서 ‘Baa3’으로 하향 조정했다. Baa3는 투자 적격 등급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단기 등급도 ‘Prime-2’에서 ‘P-3’로 떨어졌다.

무디스는 “한투증권이 점차 고위험·고수익 모델로 전환하고 있으며 자금 조달 구조가 약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한투증권의 위험 선호 비율은 24.5%로 경쟁사 평균(20%)을 웃돌았다. 현재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은 한 단계 높은 ‘Baa2’ 등급을 유지 중이다.

무디스는 또 한투증권의 발행어음 규모가 자기자본의 174%(18조 원)에 달해 경쟁사보다 높다고 지적했다. 단기자금을 장기 기업금융과 벤처투자에 투입하는 구조로 ‘자산·부채 만기 불일치’가 심화할 수 있다는 경고다.

거버넌스 평가도 한 단계 낮아졌다. 위험 선호 확대와 만기 불일치가 재무 전략과 리스크 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거버넌스 점수는 ‘G-2’에서 ‘G-3’로, 종합신용도영향점수(CIS)는 ‘CIS-2’에서 ‘CIS-3’로 조정됐다.

다만 등급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됐다. 모회사 한국투자금융지주의 지원 가능성과 높은 수익성이 작용했다. 그러나 동종사 대비 공격적인 위험·수익 전략 탓에 변동성은 여전히 크다고 평가했다. 최근 8개 반기 동안 세전 이익 변동성은 66.9%로 경쟁사보다 높은 수준이다.

무디스는 △위험 선호 비율 20% 수준으로 축소 △레버리지 6배 미만 유지 △장기 자금 조달 구조 개선이 이뤄질 경우 등급 상향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반대로 위험 선호가 40% 이상으로 확대 또는 레버리지가 15배를 넘거나 이익 변동성이 커질 경우 추가 하향도 배제하지 않았다.

무디스는 “한투증권은 자산 기준 국내 2위 증권사이자 한국은행 유동성 지원이나 예금보험공사 공적자금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이라며 “정부의 지원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투증권은 “무디스의 조정은 최근 업황과 사업구조 변화를 반영한 결정으로 수익성과 경쟁력, 재무·유동성 관리 기조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