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SK·대한유화 NCC 구조조정 협의 난항…여수·대산은 물밑교섭

양사 눈치보기 급급…논의 지지부진
S-OIL 참여요구 등 고려사항 늘어
여수선 LG·GS칼텍스 통합안 조율
대산선 현대에 롯데 설비양도 협상
정부, 세제혜택 등 적극적 개입 필요

  • 박성호 기자·심기문 기자
  • 2025-09-11 17:46:43
  • 프린트하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석유화학, 구조조정, 울산산단



SK그룹의 석유화학 계열사인 SK지오센트릭이 울산 나프타분해시설(NCC) 매각을 놓고 대한유화(006650)와 협의를 잠정 중단했다. 국내 3대 석화 산업단지 중 울산의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반면 전남 여수와 충남 대산의 석화업체들은 물밑 교섭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기업간 입장이 첨예한 사업 구조조정을 기업 자율에 맡겨놓은 탓에 상호 눈치보기가 심해 통폐합 논의가 쉽게 결론에 이르지 못하는 모양새다. 석화기업들의 원활한 구조조정을 위해 정부의 제도적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지오센트릭과 대한유화는 최근 SK측 울산 NCC 설비 매각과 관련한 협의를 중단했다. 양사간 협의는 지난해부터 시작됐지만 별 진전을 이루지 못하다 최근엔 논의가 중단됐다. SK 관계자는 "협의가 완전히 결렬된 것은 아니다" 면서 "서로 내부 입장을 다시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애초 SK지오센트릭은 NCC 설비 등을 대한유화에 매각하려 했지만 협의 과정에서 NCC 설비를 조인트벤처(JV) 형태로 운영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SK지오센트릭의 울산 NCC를 기반으로 하는 법인을 세워 두 회사가 지분을 나눠 갖고 운영은 대한유화에서 통합해 마튼 방식이다.

SK와 대한유화 간 협상이 지지부진한 것은 양사 이해 관계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체력이 좋은 SK지오센트릭 입장에서는 석유화학 업황이 최근 조금씩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자 구조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어진 측면이 있다. 대한유화 역시 JV 형태라도 투자한 설비를 바로 돌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서둘러 막대한 자금을 투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실제 대한유화는 올 상반기 144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현금 및 현금성 자산도 상반기 기준 930억 원 정도로 곳간이 넉넉한 편은 아니다.

여기에 애초 두 기업 간 구조조정이 논의됐지만 내년 말 'COTC(Crude oil into Chemicals·정유·석유화학 일체형) 설비를 가동할 예정인 에쓰-오일(S-OIL)까지 함께 참여해 설비 조정을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등 고려사항이 늘어나자 협상이 장기화하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울산 지역 구조조정은 두 기업 뿐 아니라 내년에 180만 톤의 에틸렌을 신규 생산할 에쓰오일까지 엮여 있다"며 "에쓰오일이 지금은 에틸렌을 20만 톤 가량 생산하고 있지만 내년에 샤힌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최대 생산 기업이 되는 만큼 협상장에 같이 앉아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울산 지역 구조조정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수와 대산은 기업 간 물밑 협상이 한창이다. 여수 지역에서는 LG화학(051910)과 GS칼텍스 간 협의가 진행 중이다. 두 회사가 공동 법인을 세운 뒤 NCC를 통합 운영하는 방식인데 정부가 유도하고 있는 정유·석유화학 수직 계열화 모델에도 부합한다. 두 회사가 통합 방안을 세우고 추진 과정을 이미 정부와 공유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산석유화학단지의 롯데케미칼(011170)과 HD현대케미칼은 각각 110만 톤과 85만 톤 규모의 나프타분해시설(NCC)을 운영 중인데 이를 현대케미칼이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LG화학까지 협상 테이블에 함께 할 필요가 있다는 식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석유화학업계에서는 기업 간 구조조정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치워주고 피해를 감수한 기업에게는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예컨대 설비를 양도할 경우 이익이 생길 때 양도세 등을 줄여주는 세제 혜택이나 기업 결합 시 걸림돌이 되는 공정거래법 등의 장애물을 한시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우리나라 과잉 공급을 줄이기 위한 공익적인 목적에서 설비를 스크랩(철거)하게 돼도 철거 비용이나 환경정화비용 등을 오롯이 기업이 부담해야 한다”며 “바로 운영하지 못하는 설비를 사야하는 기업인데 이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2025.09.12 (장종료)
종목명 현재가 전일비 등락률 추세차트 EBITDA 마진율
코스피LG화학 290,000 0 0.00%
코스피대한유화 119,100 3,600 -2.93%
코스피롯데케미칼 66,700 800 +1.21%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