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롯데카드의 고객정보 유출 사고의 여파로 수익성 둔화가 불가피하지만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이번 사태가 대규모 고객 이탈이나 강력한 법적 제재로 이어질 경우 중장기적으로 신용도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23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297만 명에 달하는 고객정보 유출 사고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신용등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사태로 인해△카드 재발급 △피해 보상 △과징금 등에 따른 수익성 지표 저하가 불가피하지만 롯데카드의 유동성 및 자산 수준을 감안하면 신용등급 조정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에서다.
게다가 과징금 규모가 전체 매출액의 최대 3% 이내로 비교적 크지 않고 롯데카드의 경우 견조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유동성 지표와 리스크 관리 능력을 기반으로 단기 신용등급 하락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신용카드 사용 실적 기준 롯데카드의 시장 점유율은 약 9.2%로 신한·삼성·현대 등에 이어 5위에 올랐다.
다만 이번 사고로 대규모 고객 이탈과 영업정지, 추가 과징금 등 법적 제재를 받을 경우 중장기적으로 신용도 하락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성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규모 회원 탈퇴로 시장 점유율이 크게 하락하게 된다면 신용등급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한편 롯데카드의 고객정보 유출 사고와 이에 따른 신용도 부담이 카드채 시장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달 22일 기준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롯데카드의 카드채는 규모는 1조 1250억 원 수준으로 전체의 20% 수준에 불과하다. 게다가 2014년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태 당시에도 영업정지와 과징금으로 수익성이 저하됐지만 카드채 신용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최 연구원은 “당시 롯데카드의 민평금리(민간 채권평가사가 책정한 기업의 고유 금리)는 동일 등급과의 격차가 줄었지만 여전채 AA등급 신용 스프레드는 오히려 축소된 바 있다”며 “동일 등급 민평금리와의 신용 스프레드 축소세는 다소 제한될 수도 있지만 크레딧에 대한 투자 수요를 감안할 때 여전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