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도마 오른 빗썸 지배구조 뭐길래…김주현 위원장 "처음 봐"

2022 금융위원회 국정감사

  • 조윤진 기자
  • 2022-10-06 17:12:18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6일 국회에서 열린 2022년도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의 지배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NATV 국회방송 유튜브 화면 캡쳐


6일 국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코리아(빗썸) 운영사 빗썸홀딩스의 지배구조가 도마에 올랐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은 이정훈 전 빗썸 의장에 만장일치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이날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정감사장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빗썸홀딩스 지배구조는 크게 ‘이니셜투자조합’과 ‘SG브레인테크놀로지’로 나뉘어 있다.

이니셜투자조합은 순환출자를 통해 코스피 상장사 인바이오젠, 코스닥 상장사 버킷스튜디오 및 비덴트를 실질적으로 거느린 회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이니셜1호투자조합은 버킷스튜디오 지분을 총 19.93% 보유한 최대주주다. 버킷스튜디오는 인바이오젠 지분을 총 45.26% 보유하고 있다. 인바이오젠은 비덴트 지분을 19.85% 가진 비덴트 최대주주다.

‘이니셜1호투자조합-버킷스튜디오-인바이오젠-비덴트’로 이뤄진 셈인데, 비덴트는 이니셜1호투자조합에 이어 버킷스튜디오 지분을 6.50% 보유한 2대주주이자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이다. 아울러 이니셜1·2호투자조합, 버킷스튜디오, 인바이오젠 대표는 모두 강지연 씨다.

이때 비덴트는 빗썸홀딩스와 빗썸코리아 지분을 각각 34.22%, 10.22%씩 보유한 지배기업이다. 이뿐 아니라 비덴트는 빗썸홀딩스 지분을 29.98%나 보유한 ‘DAA’의 지분도 3.30%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빗썸홀딩스의 한 편에 강지연 대표의 ‘이니셜’이 있다면 또 다른 편에는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 의장 측이 있다. 이 전 의장과 김병건 BK그룹 회장이 각각 49.9%씩 지분을 보유한 ‘SG브레인테크놀로지(前 컨설팅 SG BK)’를 통해서다. SG브레인테크롤로지가 해외법인 BTHMB홀딩스를 세우고 BTHMB홀딩스가 빗썸홀딩스 및 DAA 지분을 각각 10.70%, 51.83%씩 보유하면서다. 다만 이 전 의장과 김 회장이 서로를 상대로 각각 싱가포르 법원, 국내 법원에 소를 제기하면서 양측은 3년째 소송전을 벌이는 상태다.

수많은 관계자가 얽힌 복잡한 지배구조에 정치권은 불법 자금 동원 의혹도 제기한 상태다. 김 의원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니셜투자조합의 경우 원래 휴대폰 매장에 무선이어폰을 납품하는 자본금 2억 원 상당의 작은 회사였는데 2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해 운용했다”며 “또, 빗썸홀딩스의 실질 소유주로 알려진 이 전 의장은 사기죄로 고소돼 검찰에 기소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한편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니셜투자조합의 출자 능력이나 이 같은 지배구조 하의 재무상태가 건전하다고 보느냐. 처음 보느냐’는 김 의원의 질문에 “(처음 보는 것이다.) 빗썸 지배구조는 사실 깊게 보지 않았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