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리포트

경제관세 정책 관련 러스트벨트 및 선벨트 정치권 입장

  • 발간2025.09.11
  • 조회37
  • 출처한국무역협회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1. 러스트벨트와 선벨트 지역의 특성

□통상공화당은자유무역,민주당은보호무역주의를추구한다고인식되고있으나,트럼프관세정책관련 美정치권의반응은정당별노선이아닌지역의산업구조를반영한이해관계에따라갈라지는양상

□각주의산업별종사자비중을통해산업구조와정책이해관계에대한연관성을간접적으로파악가능


2. 러스트벨트 지역의 관세 지지·옹호 입장

□미국제조업의중심인러스트벨트(펜실베이니아·오하이오·미시간·위스콘신州등)의원들은대체로 트럼프관세정책에호의적이거나지지입장을표명

□미국제조업의중심인러스트벨트의원들은대체로관세정책에지지입장을표명

□전통적인제조업노동자기반을대변하는의원들이관세필요성을인정하는기류속에진보성향이 강한의원들은반대


3.선벨트 지역의 관세 반대·우려 입장

□남부·남서부의선벨트지역을기반으로한의원들은트럼프관세정책에대해대체로우려하거나 반대하는견해를표명

□표면적으로는트럼프대통령과각을세우지않았지만,상당수인사들이관세조치관련우려를표명

□관세정책을인플레이션유발요인및동맹관계훼손의주된원인으로규정,트럼프대통령의통상 정책을강도높게비판


4.시사점

□美의회의관세정책입장은정당노선보다지역산업구조에의해결정됨을확인할수있음

□따라서향후우리기업이투자프로젝트추진시지역별산업이해관계와정책에대한평가가 상이함을고려하여차별화되고유연한현지아웃리치전략수립필요

관세_정책_관련_러스트벨트_및_선벨트_정치권_입장.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