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는 3분기 현재 투자 침체가 이어지고 있으나,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의 모멘텀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한국 경제의 방향성은 ① 트럼프 라운드의 불확실성, ② FED와 BOK의 금융 완화 강도, ③ 경기 회복의 추진력 약화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상반기 재정·통화정책의 실기(失期)로 낙관적 시나리오인 U자형의 완만한 회복 가능성은 없다고 보인다. 지금으로서는 소비 쿠폰 지급에 따른 내수 진작 효과 그리고 긍정적인 한·미 통상 협상 결과의 영향으로, 향후 경기가 중립적 시나리오인 스우시형 저속(低速) 회복 경로를 가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예상을 벗어나 글로벌 통상 전쟁의 강도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전개되거나,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경기 회복을 위한 금리 인하를 주저하는 매파적통화정책이 지속될 경우, 비관적 시나리오인 더블딥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