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웬만한 재벌 뺨치네"…폭우 피해 수십 억 쾌척한 사모펀드는 어디?[이충희의 쓰리포인트]

①삼성·SK·현대차·LG…기부액에 재계 순위 엿보여
②한앤컴퍼니, 주요 대기업보다 많은 20억 기부
③대형 사모펀드, 자본력은 이미 대다수 기업 앞서

  • 이충희 기자
  • 2025-07-26 18:20:01
  • 프린트하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

집중호우, 성금, 기부, 삼성, 한앤컴퍼니


이달 중순 전국에 발생한 집중 호우 피해와 관련해 기업들이 잇따라 성금을 쾌척하는 훈훈한 광경이 펼쳐지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재난·재해·참사 발생 때마다 수십억 원씩 성금을 내거나 임직원들이 직접 나서 봉사 활동을 펼치는 등 공동체의 존재 이유를 보여주고 있다는 호평을 받는다.26일 재계에선 이번 집중 호우 피해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기부 행렬에 관심을 보이면서 대형 운용사인 한앤컴퍼니(한앤코)가 웬만한 재벌 그룹사보다 많은 20억 원을 쾌척한데 대해 시선이 쏠리고 있다.

극한 호우가 쏟아진 17일 오후 광주 북구 신용동 일대 도로가 침수돼 차량들이 물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①삼성·SK·현대차·LG…기부액에 재계 순위 엿보여

국내 대기업들은 호우나 산불 같은 주요 재난 상황이나 2014년 세월호, 2022년 이태원 등 최악의 참사가 발생했을 때에도 앞다퉈 성금을 내고 사회에 공헌해왔다. 이 과정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재계 순위에 따라 각 사별 성금 규모를 정하는 모습도 보여왔다.

이번 집중 호우 피해 때 삼성그룹이 30억 원, SK·현대차·LG·포스코·한화그룹·네이버 20억 원, 카카오그룹 15억 원, 롯데·GS·HD현대그룹이 10억 원, 신세계·CJ·한진·한국앤컴퍼니·부영·고려아연·풍산그룹 등이 5억 원을 기부했다. 각 지역 농민 피해를 고려한 농협이 50억 원을 쾌척한 것을 제외하면 이번에도 대체로 그룹사 순위별로 성금액이 결정됐다는 평가다.

세월호 참사 당시에는 주요 그룹사들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기부하기도 했다. 삼성 150억 원, 현대차 100억 원, SK 80억 원, LG 70억 원, 롯데 40억 원 등을 냈다. 올해 영남권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때는 삼성이 30억 원을 냈고 뒤이어 SK·현대차·LG·포스코 각 20억 원,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이 10억 원씩 기부했다.

②한앤컴퍼니, 주요 대기업보다 많은 20억 기부

올 집중 호우 피해에 한앤컴퍼니는 주요 포트폴리오사(경영권 보유 기업)들과 함께 성금 20억 원을 깜짝 쾌척했다. 이는 삼성보다 약간 낮지만 나머지 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사와 같고 롯데·GS·HD현대·신세계·CJ 등 전통의 재벌들보다 많은 규모라는 점에서 관심이 쏠렸다.

한앤컴퍼니는 한국에서 기업 경영권을 사고 팔아 수익을 내는 대형 사모펀드 운용사다. 한온시스템(옛 한라비스테온공조)을 인수해 한국앤컴퍼니그룹에 매각한 것이 대표 사례다. 지난해 말 기준 펀드 약정액(출자 기관들이 투자를 약속한 총액)이 16조 4741억 원으로 한국 경영권 투자 펀드 중 단연 최고 액수다. 지난해 7월 조성이 완료된 한앤컴퍼니 4호 펀드에는 전세계 기관들이 총 4조 7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약정하면서 국내 단일 바이아웃(Buy Out·경영권 인수) 펀드 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선 대형 사모펀드들이 이제는 대기업 못지 않게 한국 시장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졌다고 본다. 한편에선 한앤컴퍼니가 다른 사모펀드와는 다르게 국내 주요 재벌과 비슷한 결을 가진 곳이라는 평가도 내린다. 한앤컴퍼니 창업자인 한상원 사장은 방상훈 조선일보 회장의 사위다.

2024년 방한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대통령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기업 총수 20명을 초청해 면담을 가졌다. 당시 한상원 사장도 이해준 IMM프라이빗에쿼티 대표와 함께 이 자리에 참석한 바 있다.

한상원 한앤컴퍼니 사장. 한앤컴퍼니 홈페이지.


③대형 사모펀드, 자본력은 이미 대다수 기업 앞서

한상원 사장은 한국에 기반을 둔 대형 사모펀드 수장으로서 그동안 주요 그룹사들이 보여준 ‘오블리스 노블리주’를 자신들도 실천할 때가 됐다고 보고 이번 기부를 결정했다고 전해진다. 동북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도 앞서 서울시 도서관 건립에 개인 재산 300억 원을 기부한 바 있다.

자본시장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대형 사모펀드들이 보유한 포트폴리오 기업 숫자가 대기업 만큼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이번 집중호우 성금 기부에 동참한 한앤컴퍼니 포트폴리오사들은 △남양유업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 △라한호텔 △사이노슈어 루트로닉 △솔믹스 △쌍용C&E △에이치라인해운 △엔펄스 △케이카 △코아비스 △SK마이크로웍스 △SK스페셜티 △SK해운 등 13개사에 달했다.

일각에선 대형 사모펀드들이 대부분 기업들보다 자본력 측면에서 만큼은 이미 앞선다는 평가도 한다. 사모펀드들은 업의 특성상 3~5년에 한번씩 수조 원대 자금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기업 경영권을 사들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시장에 큰 영향력이 행사될 수밖에 없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형 사모펀드들이 이제는 주요 그룹사와 어깨를 견줄만큼 큰 세력이 됐다는 인식이 생겨난다”며 “사모펀드가 기업 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도 할 수 있다는 점을 더 증명해 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충희의 쓰리포인트를 구독해주세요! 3점슛 같은 짜릿한 기사로 보답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